해외 목조건축 사례
- 최근 국내외에서 목재의 탄소저장 기능 및 건축 대체재 사용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효과로 ‘목조건축’이 탄소중립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음
- 목조건축 및 목재활용 시설은 기존대비 에너지 절감, 온실가스 감축의 환경적 측면 외에도 자연적인 미각, 긍정적 건강영향, 내구성 개선, 관광효과 등의 추가적인 장점이 있습니다.
자료: www.thorntontomasetti.com/project/ascent
Ascent (미국)
자료: www.andalucia.org/en/sevilla-cultural-tourism-metropol-parasol
Metropol Parasol (스페인)
자료 : The Richmond Olympic Oval, Canadian Wood Council
해외 목조건축 사례 (Richmond Olympic Oval, 캐나다)
일본 목조건축 사례
- 일본의 경우 목조건축이 활성화된 국가로 지역에서 생산되는 목재를 활용한 목재산업 및 목재 문화가 활성화되어 있으며 정부의 제도적, 행정적 지원과 함께 민간의 관심도가 높은 특성이 있습니다.
에이메은행(마쓰야마)
에이메현 무도관(마쓰야마)
메이켄공업 사옥(오카야마)
다케나카 목조건축 도구박물관(고베)
오카야마대학 강당(오카야마)
일본목재협회(오사카)
해외 목조건축 사례 (일본)
국내 목조건축 사례
- 국내 대표 목조건축로는 국립산림과학원 종합연구동과 한그린 목조관이 있습니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명자원연구부 종합연구동(수원시 권선구)
- 대지면적: 22,982㎡
- 지역/지구: 도시/자연녹지
- 연면적: 4,553㎡
- 건축면적: 1,396㎡
- 규모: 지하1층, 지상 4층
- 용도: 교육연구시설
- 총사업비: 12,184백만원
- 준공: 2016. 5.
한그린 목조관(경북 영주시 가흥동 일원)
- 대지면적: 934㎡
- 지역/지구: 제1종 일반주거지역
- 연면적: 1,233㎡
- 건축면적: 425㎡
- 규모: 지하1층, 지상 5층
- 용도: 교육연구시설
- 총사업비: 3,412백만원
- 준공: 2018. 12.
- 최근 국내외에서 목조건축은 고층건물을 시공하여 구조는 물론 바람, 화재 등의 안전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자료: www.designboom.com/architecture/tokyo-plans-worlds-tallest-wooden-skyscraper-2041/
World 350 (일본 도쿄)
자료:www.skyscrapercenter.com/building/
oakwood-tower/24614
Oakwood Tower (영국 런던)
자료:www.designingbuildings.co.uk/
wiki/Tratoppen,_Stockholm
Tratoppen (스웨덴 스톡홀름)
전북 탄소중립 특화모델
개발을 위한 전략
전북자치도 동부권-서부권 산림선순환 체계 구축
- 산림의 탄소흡수량 확대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목조건축 및 목재활용 활성화를 위해 동부권을 목재공급처로, 서부권을 목재수요처로 활용하는 산림자원 선순환 체계를 구축합니다.
건물부문 탄소중립을 위한 목조건축 확대
- 목조건축 활성화를 위해서는 주요 관광자원과 연계한 목조건축물 실연, 지역내 특화지구 조성, 공공건축물의 성공사례를 통한 인식개선 등으로 민간까지 활성화할 수 있는 정책사업 추진이 필요합니다.
생활속 목재활용 확대
- 도시재생, 탄소중립도시 조성 등의 사업 추진 시 전북자치도에서 생산되는 목재를 활용하여 도시의 경관 및 도민의 건강영향을 개선하고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는 탄소중립 공간으로 전환합니다.
지속가능한 목재문화도시 선도
- 정부(산림청)의 탄소중립 및 목재산업 육성정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도민과 함께할 수 있는 목재문화를 형성하고 친환경 정책추진이 지역 경제발전 기여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목재문화도시 정책모델을 개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