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SITEMAP
닫기
통합검색
닫기

비전 및 전략

비전 및 전략

부문별 전략 및 사업소개

에너지전환‧산업: 신재생에너지 확대로 친환경 중심의 산업구조 대전환 선도

  • 새만금권역 대규모 재생에너지 클러스터 조성
  • 지역기반 재생에너지 보급 활성화
  • 친환경‧저탄소 산업기반 구축
  • 시장제도 참여 및 탄소중립 산업 지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시나리오 설정 표
부문 추진전략 세부과제 담당부서 과제유형 비고
에너지전환·산업 대규모
에너지
새만금 재생에너지 발전단지 조성 새만금개발과 정량 정책
서남권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 에너지수소산업과 정량 정책
재생에너지
보급
민간 태양광 보급 에너지수소산업과 정량 정책
신재생에너지 보급 에너지수소산업과 정량 정책
전북형 에너지자립마을 조성 농촌활력과 정량 정책
산업기반 구축 새만금 스마트그린 국가시범산단 구축 에너지수소산업과 정량 정책
청정연료 전환시설 지원 생활환경과 정량 정책
산업구조
전환환경 조성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지원 기후환경정책과 정량 정책
ESG 경영 활성화 지원 기업애로해소지원단 정량 정책
탄소중립 일자리 지원 일자리민생경제과 정량 정책

수송: 그린모빌리티 중심의 생태교통체계 구축

  • 그린모빌리티 전환
  • 생태교통 인프라 구축
  • 지속가능한 생태교통 제도 구축
온실가스 감축목표 시나리오 설정 표
부문 추진전략 세부과제 담당부서 과제유형 비고
수송 그린모빌리티
전환
그린카보급 확대 생활환경과 정량 정책
운행경유차 배출가스 저감 생활환경과 정량 정책
공유자전거 보급 확대 교통정책과 정량 정책
생태교통
인프라 구축
대중교통 환승센터 건립 교통정책과 정량 정책
간선급행버스체계(BRT) 구축 교통정책과 정량 정책
지능형 교통시스템(ITS) 구축 교통정책과 정량 정책
생태교통
제도 구축
대중교통 활성화 지원 교통정책과 정량 정책
자동차 탄소중립포인트제 시행 기후환경정책과 정량 정책

건물: 지역 단위로 관리되는 탄소중립 생활공간 조성

  • 기존 건축물 에너지 효율화
  • 신규 건축물 에너지 효율화
  • 도민참여형 건물에너지 효율화
  • 건물에서 지역으로 네어지 감축 대응 전환
온실가스 감축목표 시나리오 설정 표
부문 추진전략 세부과제 담당부서 과제유형 비고
건물 기존 건축물
에너지 효율화
그린리모델링 주택건축과 정량 정책
지자체 온실가스 감축설비 지원 기후환경정책과 정량 정책
환경기초시설 탄소중립 프로그램 기후환경정책과 정량 정책
공공기관 온실가스 목표관리제 기후환경정책과 정량 정책
신규 건축물
에너지 효율화
제로에너지 건축물 조성 주택건축과 정량 정책
탄소중립 목조건축 활성화 산림녹지과 정량 정책
도민 참여형
제도
가정용 저녹스 보일러 설치 지원 생활환경과 정량 정책
기후위기 대응 쿨루프 조성 기후환경정책과 정량 정책
건물 탄소중립포인트제 시행 기후환경정책과 정량 정책
点에서
面으로
탄소중립도시 추진 기후환경정책과 정성 정책
탄소중립형 도시재생 추진 주택건축과 정성 정책

농축산: 저탄소 농업기술과 기반구축을 통한 실천역량 강화

  • 탄소중립 실천역량 강화 및 저탄소 농업 확산
  • 탄소저감 축산환경 조성 및 부가가치 창출
  • 첨단기술 융복합을 통한 농축산 미래기술 활성화
온실가스 감축목표 시나리오 설정 표
부문 추진전략 세부과제 담당부서 과제유형 비고
농축산 탄소중립 실천역량 강화 및
저탄소 농업 확산
논물관리 개선 실천역량 강화 농산유통과 정량 정책
영농부산물 활용 인센티브 지원 농산유통과 정량 정책
전략작물직불제 농산유통과 정량 정책
친환경 농산물 인증 농산유통과 정량 정책
유기농업자재 지원 농산유통과 정량 정책
토양개량제 지원 농산유통과 정량 정책
바이오차 토양개량제 보급 농산유통과 정량 정책
원예시설 ICT 융복합 지원 농산유통과 정량 정책
채식보급 활성화 기후환경정책과 정량 정책
로컬푸드 활성화 농생명식품과 정량 정책
탄소저감 축산환경 조성 및
부가가치 창출
축분 신속처리를 위한 고속발효 지원 축산과 정량 정책
메탄저감 기능성보조제 지원 축산과 정량 정책
탄소중립 저탄소한우 축군 조성 축산과 정량 정책
바이오차 토양개량제 생산 축산과 정량 정책
축산시설 ICT 융복합 지원 축산과 정량 정책
첨단기술 융복합을 통한
농축산 미래기술 활성화
가축분5뇨 통합바이오가스화 시설 설치 물통합관리과/
새만금수질개선과
정량 정책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 증설 물통합관리과 정량 정책
공공우분연료화 시설 설치 새만금수질개선과 정량 정책
저탄소 공동에너지시설 지원 농산유통과 정량 정책
대체식품 보급 농생명식품과 정량 정책

폐기물: 자원순환사회 진입을 통한 탄소중립 달성

  • 도민과 함계하는 자원순환 경제사회 전환
  • 폐자원 에너지화 활성화
  • 환경친화적 소비문화 확산
온실가스 감축목표 시나리오 설정 표
부문 추진전략 세부과제 담당부서 과제유형 비고
폐기물 자원순환 경제사회
전환
폐기물 처분 부담금제도 기후환경정책과 정량 정책
음식물류 폐기물 발생 감량 기후환경정책과 정량 정책
생활자원회수시설 확충 기후환경정책과 정량 정책
Recycle100 사업 추진 기후환경정책과 정량 정책
폐자원 에너지화
활성화
바이오가스 고질화시설 설치 기후환경정책과 정량 정책
유기성폐자원 통합바이오가스화시설 설치 새만금수질개선과 정량 정책
친환경에너지타운 조성 기후환경정책과 정량 정책
환경 친화적
소비문화 확산
친환경축제 지원 기후환경정책과 정량 정책
Zero Plastic 전북 확대 기후환경정책과 정량 실천

흡수원: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탄소흡수능력 확충 및 증진

  • 지속가능한 탄소흡수원 관리체계 구축
  • 유형별 탄소흡수원 발굴 및 증진
온실가스 감축목표 시나리오 설정 표
부문 추진전략 세부과제 담당부서 과제유형 비고
흡수원 흡수원 관리체계
구축
탄소흡수원 산림경영 산림녹지과 정량 정책
국산목재 제품 우선구매 촉진 산림녹지과 정성 실천
유형별 탄소흡수원 발굴
및 증진
유휴지 녹색생태계 복원 기후환경정책과 정량 정책
생활권 거점 숲 조성 산림녹지과 정량 정책
전북형 블루카본 조성(갯벌식생복원) 해양항만과 정량 정책
전북형 블루카본 조성(해중림 조성) 수산정책과 정량 정책

정책기반: 2050 탄소중립 전환을 위한 참여형 탈탄소 기반 구축

  • 행동패턴 변화를 통한 인식전환 강화
  • 탄소중립 목표달성을 위한 지원체계 구축
  • 탄소중립 미래전략 지원
온실가스 감축목표 시나리오 설정 표
부문 추진전략 세부과제 담당부서 과제유형 비고
정책기반 행동패턴
변화유도
탄소중립 생활실천 활동 전개 기후환경정책과 정성 정책
도민참여단 운영 기후환경정책과 정성 정책
재생에너지
보급
탄소중립 거버넌스 구축 기후환경정책과 정성 정책
탄소중립 지원센터 설립 및 운영 기후환경정책과 정성 정책
온실가스감축인지예산제 기후환경정책과/예산과 정성 정책
온실가스 배출량 이행평가 및 모니터링 기후환경정책과 정성 정책
미래전략
지원
탄소중립 특화산업 전략계획 수립 미래산업과 정성 정책
탄소중립 R&D 활성화 지원 기후환경정책과 정성 정책
^
TOP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만성중앙로 11 (현목빌딩) 203호 대표전화 063-280-7162